반응형

MySQL, MariaDB 이너 조인

실습을 위한 부서(dept)와 사원(emp) 테이블을 생성한다.

create table dept(
	id int(20) unsigned primary key auto_increment,
	regDate datetime not null default now(),
	deptName char(30) unique
);


create table emp(
	id int(20) unsigned primary key auto_increment,
	regDate datetime not null default now(),
	name char(30) not null,
    deptId int(20) not null
);

키워드 설명

1) unsinged : 표현할 숫자의 범위에서 음수를 제외하고 음수를 제외한 만큼 양수에서 더 표현

2) primary key(개체 무결성 제약조건) : 기본키

3) auto_increment : 자동 증가

4) defalut : 해당 컬럼 기본값 설정

5) now() : 현재 시스템 시간을 가져오는 함수

 

좌 : 부서(dept) 테이블 / 우 : 사원(emp) 테이블

 

다음으로 실습을 위해 각 테이블에 데이터를 추가한다.

-- dept 테이블에 '홍보부서'와 '기획부서' 추가

insert into dept(deptName) values('홍보');
insert into dept(deptName) values('기획');


-- emp 테이블에 사원 추가

insert into emp(name, deptId) value('루니', 1);
insert into emp(name, deptId) value('램파드', 2);

 

좌 : 부서(dept) 테이블 / 우 : 사원(emp) 테이블

 

Inner Join을 통한 사원의 소속 부서 출력

사원 테이블에는 사원이 속한 부서의 이름이 아닌 부서의 번호가 입력되어 있다.

우선 부서 테이블과 사원 테이블에 있는 모든 데이터를 가져오는 다음 쿼리문을 실행하여 본다.

select * from dept, emp;

 

select * from dept, emp를 실행 결과

실행하면 사원의 이름도 중복되고 사원의 부서도 알 수 없게 출력된다.

따라서 Inner Join을 이용하여 사원의 소속 부서를 알아내야 한다.

select * from [테이블명] inner join [조인할 테이블명] on [조인 조건]

select * from emp inner join dept on emp.deptId = dept.id;

 

select * from emp inner join dept on emp.deptId = dept.id의 실행 결과

해당 쿼리문은 사원 테이블과 부서 테이블을 Innter Join한 결과이고 조건은 사원 테이블의 부서 번호와 부서 테이블의 부서 번호가 일치하는 데이터만 출력하였다.

 

select emp.id, emp.regDate, emp.name, dept.deptName from emp inner join dept on emp.deptId = dept.id;

필요한 컬럼만 조회

필요한 데이터는 사원 정보와 사원의 소속 부서이기 때문에 나머지 필요하지 않은 정보를 제외하였다.

반응형
반응형

컬럼 이름 변경

alter table [테이블명] change [변경전 컬럼] [변경후 컬럼] [컬럼 타입];

alter table article change user nickname varchar(30);

 

컬럼 제약 조건 추가

1) not null 추가 : alter table [테이블명] modify [컬럼명] [타입] [제약조건];

2) primary key(기본키) : alter table [테이블명] add primary key(컬럼명);

3) foreign key(외래키) : alter table [테이블명] add constraint [제약조건 이름] foreign key(컬럼명) reference [참조할 테이블](참조 테이블의 참조 컬럼);

// not null
alter table article modify id INT not null;


// 기본키
alter table article add primary key(id);

// 외래키 -> user 테이블의 기본키를 article 테이블 id 컬럼의 외래키로 추가
alter table article add constraint userid_fk foreign key(id) reference user(id);

 

컬럼 추가

alter table [테이블명] add column [컬럼명] [컬럼 타입];

alter table article add column username varchar(30);

 

컬럼 수정

alter table [테이블명] modify [컬럼명] [타입];

alter table article modify id INT;

 

컬럼 삭제

alter table [테이블명] drop column [컬럼명];

alter table article drop column id;

 

컬럼 순서 변경

alter table [테이블명] modify [컬럼명] [컬럼타입] after [앞 컬럼];

# username 뒤에 nickname 컬럼 추가

alter table article modify nickname varchar(30) after username;
반응형
반응형

정보처리산업기사 실기 과목별 배점

영역 배점
알고리즘 25점 내외
데이터베이스 25점 내외
업무프로세스 15점 내외
전산영어 10점 내외
IT 신기술 동향 및 시스템 관리 25점 내외

정보처리산업기사 실기 과목별 출제 기준

과목명 주요항목 세부항목 세세항목
정보처리 실무 1. 정보처리 실무일반 1. 업무 프로세스 실무 1. 기본 업무 프로세스를 재설계 할 수 있다.
2. 기타 업무 프로세스를 재설계 할 수 있다.
    2. 데이터베이스 실무 1. 무결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모델링 작업을 할 수 있다.
3. 정규화 작업을 할 수 있다.
4. 관계 데이터 연산을 할 수 있다.
5. 기타 데이터베이스 관련 실무 작업을 할 수 있다.
    3. 실무 알고리즘 일반 1. 일반 알고리즘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2. 현업 알고리즘 일반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2. 정보기술 일반이해 1. IT 신기술동향 및 시스템관리 1. IT 신기술 용어 개념 및 신기술 동향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2. 관리적 보안관리 수행을 할 수 있어야 한다.
3. 물리적 보안관리 수행을 할 수 있어야 한다.
4. 응용서비스 기술적 보안관리 수행을 할 수 있어야 한다.
5. IT 서비스 연속성 관리를 할 수 있어야 한다.
6. 재해복구시스템 운영관리를 할 수 있어야 한다.
7. IT 시스템 유지보수 관리를 할 수 있어야 한다.
    2. 전산 영어 실무 1. 기초 개념에 관한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2. 기초 실무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2021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일정 및 신청

필기 2회차 접수 시작일이었던 4월13일 전날에 원서 접수의 시험장 선택과 결제 전 단계까지 처리가 가능하여 일부분을 미리 접수하고 신청 당일에는 시험장 선택과 결제만 하여 대기 시간에도 금방 접수를 완료할 수 있었습니다.

회차 원서접수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 합격자 결정 실기접수 실기시험 합격자 발표
2021년/
산업
기사
제1회
2021.01.26
2021.01.29
2021.03.02 -2021.03.14 2021.03.19 2021.03.08
-2021.03.30
2021.04.01
2021.04.06
2021.04.24
-2021.05.07
2021.05.21
2021.06.02
2021년/
산업
기사
제2회
2021.04.13
2021.04.16
2021.05.09 -2021.05.20 2021.06.02 2021.05.17
-2021.06.11
2021.06.15
2021.06.18
2021.07.10
-2021.07.24
2021.08.06
2021.08.20
2021년/
산업
기사
제3회
2021.07.13
2021.07.16
2021.08.08 -2021.08.18 2021.09.01 2021.08.16
-2021.09.10
2021.09.14
2021.09.17
2021.10.16
-2021.10.29
2021.11.12
2021.11.26
2021년/
산업
기사
제4회
2021.08.17
2021.08.20
2021.09.05 -2021.09.15 2021.10.06 2021.09.13
-2021.10.15
2021.10.19
2021.10.22
2021.11.13
-2021.11.26
2021.12.10
2021.12.24

 

정보처리산업기사 CBT, 문제은행 방식

이미지를 누르면 해당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정보처리산업기사는 문제은행 방식입니다. 이전 시험에서 출제된 문제가 다음 시험에서 다시 출제되는 경향이 큰 시험이라 문제은행을 많이 풀어보면 도움이 됩니다. 작년부터 CBT 방식으로 바뀌어 해당 사이트에서 시험과 비슷한 환경에 문제 풀이 및 점수 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

공부 방법

시나공을 기본서로 공부했습니다. 처음부터 문제은행으로 학습하는 분들도 계신데 저는 전혀 모르는 상태로 문제를 풀어도 해설을 봤을 때 이해가 가지 않아 시나공에서 자주 출제되는 빈도에 따라 나눈 A, B, C, D 파트 중 A와 B 파트를 학습하고 유명 강의 사이트에서 강의도 끊어 하루에 두 시간 공부한 후 마무리로 문제은행을 2회차씩 풀었습니다.
학습자의 성향에 따라 학습하는 방식이 다르겠지만 저는 기본서를 본 후에 문제를 풀었을 때 해설을 봐도 이해하기 수월하여 실력이 많이 늘었습니다. 정리하면 다음 세 과정을 반복하며 공부했습니다.

1) 기본서를 사서 출제 비중이 큰 파트를 공부

 

2) 기본서에서 공부한 내용을 강의 사이트에서 재학습

* 저는 혼자 학습이 잘 안 돼서 강의 사이트 등록했지만 필수 아닙니다. 필기는 강의 안 듣고 합격하시는 분들이 더 많습니다.

 

3) 문제은행 풀이 후 오답 정리(오답 정리 시 기본서 참고)

* 오답 정리 시 옳지 않은, 옳은 문제는 옳은 이유와 옳지 않은 이유를 선택지마다 정리하여 학습

 

전자계산기 / 정보통신개론

저도 그렇고 많은 분들이 이 두 과목을 공부하시면서 제일 힘드셨을 것 같습니다. 전자계산기는 계산 문제가 어렵게 나올 때 답이 없을 정도로 어렵게 나오고 정보통신개론은 용어가 어려워서 많이 틀리시는데 너무 어려우시면 틀린 해당 문제는 과감히 포기하고 다른 문제 학습에 시간을 투자하는 게 더 합리적이라고 봅니다. 특히 정보통신개론에서 용어 문제들은 과거 기출 문제 계속 풀어보면 굳이 안 외워도 눈에 들어올 정도로 반복 출제되는 문제가 많아 외워집니다.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응시 후기

CBT 시험이라 답안 제출 후 점수 및 과락 여부를 포함한 성적이 바로 나옵니다. 과목마다 점수를 정확하게 안 보고 퇴실했는데 과락없이 81점 취득했습니다. 제출하면 과목별 점수 및 총점 위에 합격(예정)이라고 나오는데 확실히 문제은행이라 과거 문제은행에서 출제된 문제가 정확하게 이해할 정도로 학습하면 합격에는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시험중 불안했던 부분은 문제은행 중심으로 공부하고 기본서도 봤는데 공부하면서 한 번도 본 적 없는 문제가 과목마다 여러 문제 나왔다는 것입니다. 어떻게 보면 모르는 문제를 잘 찍어서 80점 이상 득점했다고 볼 수 있는데 모르는 문제 다 틀렸어도 문제은행 풀면서 학습한 문제만으로도 충분히 60점 이상에 과락도 없었을 것 같습니다.
7월에 실기 시험인데 실기도 합격하게 되면 필기와 실기 종합하여 후기 남기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