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OSI 7 계층

OSI 7 계층이란 네트워크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개의 계층으로 분리한 것을 말한다.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세션 계층 (Session Layer)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계층별 키워드

1) 응용 계층 : 서비스 제공, Gateway 

2) 표현 계층 : 코드 변환, 데이터 암호화, 압축

3) 세션 계층 : 대화 제어, 송수신 간의 관련성 유지 *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 메시지

4) 전송 계층 : 주소 설정, 다중화, 에러 제어 *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 세그먼트

5) 네트워크 계층 : 경로 설정, 트래픽 제어, 패킷 정보 전송 *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 패킷

6) 데이터 링크 계층 : 오류, 흐름 제어, 프레임 동기, 순서 제어 *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 프레임

7) 물리 계층 : 기계, 전지,기능, 절차적 특성 정의

반응형
반응형

시스템

1) 특성 : 종합성, 목적성, 제어성, 자동성

2) 요소 : 입력, 처리, 출력, 제어, 피드백

3) 순서 : 목적 설정 -> 현장 조사 및 분석 -> 시스템 설계 -> 프로그램 설계 -> 구현 -> 테스트 및 디버깅 -> 운용 -> 유지 보수

코드

1) 기능 : 배열, 분류, 식별

2) 종류 : 10진(Decimal) 코드, 그룹 분류(Group Classification) 코드, 표의 숫자(Significant Digit) 코드, 연상(Mnemonic) 코드

3) 순서 : 코드 대상 결정 -> 목적 명확화 -> 대상 수 확인 -> 범위 결정 -> 기간 결정 -> 특성 분석 -> 코드 부여 방식 결정 -> 문서화

반응형
반응형

메이저 스테이트(Major State)

- 메이저 스테이트는 현재 CPU가 무엇을 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상태로써 CPU가 무엇을 위해 주기억장치에 접근하냐에 따라 Fetch, Indirect, Excute, Interrupt 이렇게 네 가지 상태가 있다.

- 메이저 스테이트는 메이저 스테이트 레지스터를 통해 알 수 있다.

- 메이저 사이클(Major Cycle) 또는 머신 사이클(Machine Cycle)이라고도 한다.

반응형
반응형

마이크로 오퍼레이션(Micro Operation)

-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명령(Instruction)을 수행하기 위해 CPU 내의 레지스터와 플래그가 의미 있는 상태 변환을 하도록 하는 동작이다.

-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레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터에 의해 이뤄지는 동작이다.

-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한 개의 클럭 펄스 동안 실행되는 기본 동작으로 모든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CPU의 클럭 펄스에 맞춰 실행된다.

-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진행되는 가장 작은 단위의 동작을 의미하는 것으로 더 이상 세분화될 수 없고 실행 중에는 중단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원자(Atomic) 연산이라고도 한다.

-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의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 제어장치가 발생하는 신호를 제어신호라고 한다.

-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Instruction 실행 과정에서 한 단계씩 이루어지는 동작으로 한 개의 Instruction은 여러 개의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이 동작되어 실행된다.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Micro Cycle Time) = CPU Cycle Time = CPU Clock Time

- 한 개의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Micro Cycle Time이라고 한다.

- 모든 순서논리회로는 클럭 펄스의 동기화에 의해 동작되는데 CPU도 하나의 거대한 순서논리회로이므로 CPU 역시 이 클럭 펄스에 동기화되어 동작된다.

- 이 때의 펄스를 CPU 클럭이라 하며 한 개의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이 CPU 클럭의 발생 주기의 간격 시간 내에 실행된다.

- CPU Cycle Time 또는 CPU Clock Time이라고도 하며 CPU 속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이용한다.

 

마이크로 사이클 부여 방식

1) 동기 고정식(Synchronous Fixed) : 동기 고정식은 모든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의 동작 시간이 같다고 가정하여 CPU Clock의 주기를 Micro Cycle Time과 같도록 정의하는 방식으로 동작 시간이 가장 긴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의 동작 시간을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으로 지정한다.

* 장점 : 제어기의 구현이 단순하다. / 단점 : CPU의 시간 낭비가 심하다.

 

2) 동기 가변식(Synchronous Variable) : 동기 가변식은 수행 시간이 유사한 마이크로 오퍼레이션끼리 그룹을 만들어 각 그룹 별로 서로 다른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을 정의하는 방식으로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수행 시간이 현저한 차이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 장점 : CPU의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다. / 단점 : 제어기의 구현이 복잡하다.

 

3) 비동기식(Asynchronous) : 비동기식은 모든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에 대하여 서로 다른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을 정의하는 방식이다.

* 장점 : CPU의 시간 낭비가 전혀 없다. / 단점 : 제어기가 매우 복잡해지므로 실제로는 구현이 거의 불가능하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