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
리소스를 처리하는 방식, 즉, CRUD를 처리하는 방식을 말한다.
'ETC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Multi-tier Architecture, Test Driven Development (0) | 2021.08.10 |
|---|---|
| 로딩을 하는 이유는? (0) | 2021.04.19 |
| 컴퓨터의 데이터 단위(Bit, Byte, KB, MB, GB, TB) (0) | 2021.04.19 |
리소스를 처리하는 방식, 즉, CRUD를 처리하는 방식을 말한다.
| Multi-tier Architecture, Test Driven Development (0) | 2021.08.10 |
|---|---|
| 로딩을 하는 이유는? (0) | 2021.04.19 |
| 컴퓨터의 데이터 단위(Bit, Byte, KB, MB, GB, TB) (0) | 2021.04.19 |
여러 개의 계층으로 나누어서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으로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것은 3티어 아키텍처이다.
Presentation - Business - Data Source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Presentation : 사용자와 소통하는 부분 (Front-End)
Business : 사용자가 요청한 것을 처리하는 부분 (Back-End)
Data Source : 처리한 결과가 보존되는 곳 (DataBase)
이 중에서 Business 부분에는 Layered Architecture 라는 것이 존재한다.
Layered Architecture : 4개의 레이어로 시스템을 만드는 것으로 UI, Application, Domain, Infrastructure로 나뉜다.* 각 레이어는 아래 단계의 레이어에 의존되어 사용되지만 윗 단계의 레이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이렇게 사용하는 이유는 프로젝트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다.
테스트 주도 개발 혹은 목표 주도 개발을 의미한다. 테스트는 개발에서의 목표를 실험해보게 되고 사용자 입장에서 실행하게 되므로 사용자 주도 개발이라고도 한다.
TDD를 사용하는 이유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함이고 좀 더 보기 좋은 코드를 만드는 데에 목표가 있다.
1) 올바르게 작동하는 코드 구현
2) 깔끔하게 작동하도록 리팩토링 -> 작동은 그대로 두고 코드만 변경
| REST API (0) | 2021.08.10 |
|---|---|
| 로딩을 하는 이유는? (0) | 2021.04.19 |
| 컴퓨터의 데이터 단위(Bit, Byte, KB, MB, GB, TB) (0) | 2021.04.19 |
공부할 내용 slf4j, spring-boot-devtools
- 프로그램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그 자체와 리소스를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 기억장치에서 메모리로 불러들이는 과정이다. CPU는 보조기억장치에 직접 접근할 수 없기 때문이다.
- RAM : 메모리가 많으면 미리 대량의 데이터를 로딩하여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처음 한 번의 로딩은 시간이 걸려도 이후에는 로딩 없이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 보조기억장치 : 보조기억장치가 빠를수록 로딩 시간은 줄어든다.
- 데이터의 양 : 불러올 데이터가 많을수록 로딩 시간은 길어진다.
| REST API (0) | 2021.08.10 |
|---|---|
| Multi-tier Architecture, Test Driven Development (0) | 2021.08.10 |
| 컴퓨터의 데이터 단위(Bit, Byte, KB, MB, GB, TB) (0) | 2021.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