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틀린 배열(Array)

// 배열 선언

val array1 = arrayOfNulls<String>(100) // 길이가 100인 문자열 배열 생성 (각 인덱스 초기값 null)

val array2 = IntArray(10, {0}) // 길이가 10인 정수 배열 생성 (각 인덱스 초기값 0)

val array3 = arrayof("A", "B", "C") // 문자열 "A", "B" , "C"가 들어간 배열 생성


val array = arrayOfNulls<String>(100) // 모든 인덱스가 null로 초기화된 String 배열

array[0] = "Hellow" // array의 0번 인덱스에 "Hellow" 추가
array.set[1,"Wolrd"] // array의 1번 인덱스에 "World" 추가

코틀린 객체 배열

// 회원 정보가 담기 Member 클래스 생성
data class Member(val id : Int, val name : String, val age : Int, val gender : String)


// main() 메소드
fun main() {

    println("=== 프로그램 시작 ===")

	// 배열의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총 입력될 회원 수 설정
    print("회원 수 : ")
    
    // readLine()으로 입력을 받고 !!로 null값 허용, trim() 공백 제거, toInt()로 정수 변환
    val memberCount = readLine()!!.trim().toInt()
	
    
    println("${memberCount}명의 회원 정보를 입력합니다.")

	// Member 클래스가 들어갈 배열 생성 (배열 길이 : memberCount / 초기값 : null)
    val array = Array<Member?>(memberCount) { null }


	// 회원 수만큼 반복
    for (x in 0 until memberCount) {
		
        // x가 0에서 시작하므로 +1
        print("${x+1}번째 회원의 이름 : ")
        val name = readLine()!!.trim()
        
        print("${x+1}번째 회원의 나이 : ")
        val age = readLine()!!.trim().toInt()
        
        print("${x+1}번째 회원의 성별(M/W) : ")
        val gender = readLine()!!.trim()

		// member 객체를 생성하여 입력받은 자료를 저장
        val member = Member(x+1, name, age, gender)

		// 배열의 x번째 인덱스에 37번줄에서 생성한 member 객체를 입력
        array[x] = member
    }


	// 출력 부분
    println("=== 입력하신 회원 리스트 ===")
    println("번호  /  이름  /  나이  /  성별")
	
    
    for (x in 0 until memberCount) {
        println("${array[x]!!.id}    /  ${array[x]!!.name}  /  ${array[x]!!.age}   /  ${array[x]!!.gender}")
    }

    println("=== 프로그램 끝 ===")
}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array, int[][] commands) {
        
        // answer을 commands 길이의 배열로 생성
        int[] answer = new int[commands.length];
        
        // commands의 길이만큼 반복
        for (int x = 0; x < commands.length; x++) {
            
            // 임시 배열 temp 생성하고 Array 함수를 통해 array의 commands에 입력된
            // 숫자를 start와 end 길이로 자름
            int[] temp = Arrays.copyOfRange(array, commands[x][0]-1, commands[x][1]);
            
            // Array 메소드로 temp를 오름차순 정렬
            Arrays.sort(temp);
            
            // answer[x]에 temp의 commands[x][2]에 있는 숫자 인덱스-1 번째에 위치한 숫자를 입력
            answer[x] = temp[commands[x][2]-1];
        }
        
        return answer;
    }
}
fun main() {
    println("코틀린 구구단 출력")
    
    for (x in 1 .. 9) {
        println("== ${x}단 ==")
        for (y in 1 .. 9) {
            println("$x * $y = ${x*y}")
        }
    }
    
}
# 리스트 생성

arr = []

# 리스트 마지막에 데이터 추가

arr.append(data)

# 리스트 슬라이싱

arr = [1, 2, 3]

print(arr[0]) # 출력 : [1]
print(arr[1]) # 출력 : [2]
print(arr[2]) # 출력 : [3]

print(arr[-1]) # -1번 인덱스 -> 끝에서 첫번째 인덱스 -> 출력 : [3]

arr = [1, 2, 3, ['a', 'b', 'c']]

print(arr[-1][0]) # -1번 인덱스 안의 0번 인덱스 -> 출력 : ['a']

arr = [1, 2, 3, 4, 5]

print[arr[0:2] # 0번에서 2번 인덱스 전까지 -> 출력 : [1, 2]

'Programming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진법 변환  (0) 2021.04.22
[Python] 부모 클래스 생성자 오버라이딩  (0) 2021.04.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