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가 테이블 생성 시 필수적으로 넣어주는 컬럼입니다.

 

물리 이름 논리 이름
REG_DT 등록일자
REG_ID 등록자 아이디
REG_IP 등록자 아이피
MOD_DT 수정일자
MOD_ID 수정자 아이디
MOD_IP 수정자 아이피
DEL_YN 삭제여부 ('Y' 혹은 'X')
반응형
반응형

문자열을 비교할 때 많이 사용되는 메소드는 equals()입니다. 문자열 String은 기본타입이 아닌 클래스이므로 == 를 사용하여 비교할 시 두 문자열 클래스의 주소값을 비교하게 되고 같은 문자가 담긴 문자열이라도 false를 반환합니다.

 

그래서 사용하는 문자열 비교 메소드가 equals() 메소드인데 이 메소드의 치명적인 단점은 equals() 를 부르는 객체가 null일 경우 개발자 모두가 싫어하는 NullPointerException 발생시킨다는 것입니다.

 

 

이 때 StringUtills 클래스의 equals() 메소드를 사용하면 예외 발생 없이 null이 반환되기 때문에 NullPointerException에서 안전합니다.

 

StringUtills의 패키지 경로 : org.apache.commons.lang3.StringUtils;

반응형

'Java > Java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Optional  (0) 2021.07.22
[Java] .length, .length(), .size()  (0) 2021.07.08
[Java] 증감 연산자 기초  (0) 2021.07.06
[Java] 연산자의 종류  (0) 2020.12.30
[Java] String 배열  (0) 2020.12.25
반응형

head와 tail 명령어는 파일 내용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head

 

head는 문서의 윗부분을 출력합니다. 

 

예) head -n 5 파일이름

 

n이 들어간 자리에 숫자를 입력하면 출력할 라인 수를 지정할 수 있고 지정하지 않을 시 기본 10줄 출력됩니다.

 

tail

 

tail는 문서의 아랫부분을 출력합니다.

 

예) tail -n 5 파일이름

 

n이 들어간 자리에 숫자를 입력하면 출력할 라인 수를 지정할 수 있고 지정하지 않을 시 기본 10줄 출력됩니다.

 

tail -f 를 사용하면 파일의 내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로그 확인에 유용합니다.

 

반응형

'Programming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자바 설치, MariaDB 설치  (0) 2021.11.21
[Linux] 자주 쓰는 명령어 정리  (0) 2021.09.30
[SSH] SSH 클라이언트 Xshell  (0) 2021.09.30
반응형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 경로 출력 : pwd

 

경로 이동 : cd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 목록 확인 : ls

 

파일 보기 : cat

 

디렉토리 생성 : mkdir

 

삭제 : rm

 

해당 파일 열람 : head, tail

 

문자로 파일, 폴더 찾기 : find

반응형

'Programming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자바 설치, MariaDB 설치  (0) 2021.11.21
[Linux] head, tail 명령어 정리  (0) 2021.09.30
[SSH] SSH 클라이언트 Xshell  (0) 2021.09.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