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컨트롤러에서 return 할 때 결과에 따라 메시지를 출력하고 페이지를 이동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래 코드는 메시지 출력 후 페이지 이동을 하기 위한 jsp 파일입니다.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pageEncoding="UTF-8" %>
<%@ taglib prefix="c" uri="http://java.sun.com/jsp/jstl/core" %>
<%@ taglib prefix="ui" uri="http://egovframework.gov/ctl/ui" %>
<%@ taglib prefix="fn" uri="http://java.sun.com/jsp/jstl/functions" %>
<%@ taglib prefix="fmt" uri="http://java.sun.com/jsp/jstl/fmt" %>
<%@ taglib prefix="spring" uri="http://www.springframework.org/tags" %>
<%@ taglib prefix="form" uri="http://www.springframework.org/tags/form" %>

<!DOCTYPE html>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title>저장</title>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c:url value="/pluigs/jQuery/jquery-3.3.1.min.js"/>"></script>
</head>
<body onload="fn_search_list();">

<!-- 메시지 출력 후 이동할 페이지 지정 -->
<c:url var="searchUrl" value="/list.do"/>

<!-- 전자정부프레임워크 페이징 처리를 위한 모델 처리 form -->
<form:form modelAttribute="searchVO" id="searchForm" name="searchForm" action="${searchUrl}" method="post">
    <form:hidden path="pageIndex"/>
    <form:hidden path="pageUnit"/>
    <form:hidden path="searchCondition"/>
    <form:hidden path="searchKeyword"/>
    <form:hidden path="searchUseSe"/>
</form:form>

<script>

    /*********************************************************
	 * 메시지 alert()
	 ******************************************************** */
	<c:if test="${not empty message}">
	alert("${message}");
	</c:if>
    
	
    
    /*********************************************************
	 * 목록 처리
	 ******************************************************** */
    function fn_search_list() {
		<c:if test="${not empty path}">
		$("#searchForm").attr("action", "<c:url value="${path}" />");
		</c:if>
		$("#searchForm").submit();
	}
</script>

</body>
</html>

 

위처럼 작성하시고 model에 메시지와 이동 페이지 경로를 담아 jsp로 넘기면 alert()가 메소드를 띄운 후 폼 태그의 액션 경로에 모델에서 지정한 경로가 담기면서 페이징 정보를 담고 리스트로 이동합니다.

 

728x90
반응형

제가 테이블 생성 시 필수적으로 넣어주는 컬럼입니다.

 

물리 이름 논리 이름
REG_DT 등록일자
REG_ID 등록자 아이디
REG_IP 등록자 아이피
MOD_DT 수정일자
MOD_ID 수정자 아이디
MOD_IP 수정자 아이피
DEL_YN 삭제여부 ('Y' 혹은 'X')
728x90
반응형

문자열을 비교할 때 많이 사용되는 메소드는 equals()입니다. 문자열 String은 기본타입이 아닌 클래스이므로 == 를 사용하여 비교할 시 두 문자열 클래스의 주소값을 비교하게 되고 같은 문자가 담긴 문자열이라도 false를 반환합니다.

 

그래서 사용하는 문자열 비교 메소드가 equals() 메소드인데 이 메소드의 치명적인 단점은 equals() 를 부르는 객체가 null일 경우 개발자 모두가 싫어하는 NullPointerException 발생시킨다는 것입니다.

 

 

이 때 StringUtills 클래스의 equals() 메소드를 사용하면 예외 발생 없이 null이 반환되기 때문에 NullPointerException에서 안전합니다.

 

StringUtills의 패키지 경로 : org.apache.commons.lang3.StringUtils;

'Java > Java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Optional  (0) 2021.07.22
[Java] .length, .length(), .size()  (0) 2021.07.08
[Java] 증감 연산자 기초  (0) 2021.07.06
[Java] 연산자의 종류  (0) 2020.12.30
[Java] String 배열  (0) 2020.12.25
728x90
반응형

head와 tail 명령어는 파일 내용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head

 

head는 문서의 윗부분을 출력합니다. 

 

예) head -n 5 파일이름

 

n이 들어간 자리에 숫자를 입력하면 출력할 라인 수를 지정할 수 있고 지정하지 않을 시 기본 10줄 출력됩니다.

 

tail

 

tail는 문서의 아랫부분을 출력합니다.

 

예) tail -n 5 파일이름

 

n이 들어간 자리에 숫자를 입력하면 출력할 라인 수를 지정할 수 있고 지정하지 않을 시 기본 10줄 출력됩니다.

 

tail -f 를 사용하면 파일의 내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로그 확인에 유용합니다.

 

'Programming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기본 명령어  (0) 2025.05.11
[Linux] 자바 설치, MariaDB 설치  (0) 2021.11.21
[Linux] 자주 쓰는 명령어 정리  (0) 2021.09.30
[SSH] SSH 클라이언트 Xshell  (0) 2021.09.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