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이란 말 그대로 A가 B에 의존할 때 A에 B를 주입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A가 B에 의존한다는 말은 A가 B를 사용한다는 의미와 같습니다.

 

이러한 의존 관계에서 A가 B에 의존하고 있을 때, B에 변화가 생기면 A가 영향을 받게 되고 B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코드 생성이 필요합니다.

 

Spring 주입에 관한 글

 

[Spring] 생성자(Constructor) 주입, 필드(Field) 주입, 수정자(Setter) 주입

생성자 주입(Constructor Injection) 스프링에서 가장 권장하는 방식입니다. 단일 생성자인 경우에는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붙이지 않아도 되지만 생성자가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생성자에 어노테이션

developer-rooney.tistory.com

 

반응형

+ Recent posts